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TC/🜸 AWS4

자주쓰는 AWS S3 명령어 모음 1. 버킷 목록 조회$ aws s3 ls 2. 버킷 내 파일 목록 조회 $ aws s3 ls s3://버킷명 3. 버킷 내 파일 삭제$ aws s3 rm s3://버킷명/파일경로 4. 로컬 -> S3 파일 업로드4-1  파일만 업로드$ aws s3 cp 로컬내 파일경로 s3://버킷명/업로드할폴더명// ex)로컬 프로젝트 public에 있는 logo.png를 myBucket이라는 버킷의 image 폴더에 업로드$ aws s3 cp ./public/logo.png s3://myBucket/image/ 4-2 폴더 전체 업로드$ aws s3 cp --recursive 로컬폴더경로 s3://버킷명/업로드경로// 로컬 프로젝트내 public 폴더를 myBucket이라는 버킷의 public에 업로드$ aws s3.. 2024. 6. 19.
AWS S3 생성부터 Cloud Front 연결까지 1. S3 생성하기먼저 AWS S3 대시보드에서 버킷 만들기 버튼을 클릭! 버킷은 이름은 글로벌 네임스페이스 내에서 고유해야합니다.즉 리전 그룹 내 모든 AWS 리전에서 단 하나뿐이여야 합니다.객체 소유권이란 다른 AWS 계정에서 소유할 수 있는 권한 입니다.저는 사내 운영 계정에 생성하는 S3이기에타 계정이 접속 하지 못하게 ACL 비활성화로 선택 하였습니다. 이 버킷의 퍼블릭 액세스를 차단한다는 것은 외부에서 S3내에 있는 파일을 볼 수 없게 차단하겠다는 뜻입니다. 버킷 버전 관리 설정 입니다.버킷 버전 관리 활성화시 모든 객체의 각 버전을 보전, 검색, 및 복원할 수 있습니다.그 외 설정은 기본값으로 진행했습니다추후 변경이 가능하니, Cloud Front를 붙이는 작업을 하면서 세부적인 설정을 할 .. 2024. 6. 18.
AWS Amplify로 웹 앱 호스팅하기 새로운 사내 프로젝트를 들어가면서 AWS Amplify를 이용해 빠르게 프론트엔드 배포 시스템을 구축하고, 개발 서버 호스팅까지 완료해 보았다.기존에 AWS route53에 도메인을 보유한 상태였고, 관련한 AWS 권한도 회사 계정에 부여받은 상태임을 먼저 알려드립니다 🙇🏻‍♀️ 🔥 Amplify 설정  1.  Amplify 접속먼저 AWS에 로그인한 후 Amplify를 검색해 주세요Amplify 페이지까지 왔다면 새 앱 버튼을 눌러 웹 앱 호스팅을 선택! 2. Git 리포지토리 선택배포를 원하는 Git 리포지토리와 연결하는 단계입니다.저는 Bitbucket으로 Git을 관리하고 있으므로 Bitbucket을 선택 후 다음으로 넘어가 볼게요. 3. 리포지토리 브랜치 추가전 Bitbucket에 이미 .. 2023. 12. 22.
AWS cli에서 새로운 profile 생성하기 할때마다 매번 까먹어서 업무중에 휘갈겨쓴 포스팅 제발 기억하자 생성 $ sudo aws credential --profile 프로파일명 $ Password: 컴퓨터 비밀번호 입력하면됨 $ AWS Access Key ID [None]: Access Key 입력 $ AWS Secret Access Key [None]: Secret Access Key 입력 $ Default region name [None]: 리전 입력 (예시 : ap-northeast-2) $ Default output format [None]: 포맷 입력 (예시 : json) sudo 안때리면 권한 없어서 안될수도 확인 $ aws configure list --profile 프로파일명 그냥 $ aws configure --profile 프.. 2022. 8. 31.
반응형